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코스피 PBR 보는법 쉽게 확인하기

by 친칠라라라 2024. 1. 24.
반응형

코스피 PBR 보는법 쉽게 확인하기

 

오늘은 코스피 PBR 보는법에 대해서 포스팅해보려고 합니다. 여러 가지 매매기법이 많지만 요즘 같은 장세에서는 PBR을 통해서 지금의 주식시장의 적정 가격을 알고 매매를 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PBR을 알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 많지만 제가 주로 활용하는 KRX정보 데이터시스템 홈페이지에서 알 수 있는 방법을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PBR이란

PBR이란 주식 투자에 사용되는 여러 지표 중 일종의 가치지표로서 Price to Book Ratio의 약자입니다. 지금 주식시장의 가격을 상장 회사의 순자산 가치로 나눈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PBR의 구성요소
PBR이란

이 비율을 통해서 PBR이 1보다 작은 경우 순자산의 가치보다 지금의 주가가 낮음을 나타냄으로 주식이 저평가되었다 말할 수 있고 1보다 클 경우 순자산의 가치보다 지금의 주가가 높으니 주식이 고평가 되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각 지수의 PBR은 주식시장의 장세에 따라서 다르고 산업군에 따라서 전혀 다르기 때문에 PBR만으로 모든 투자의 결정을 할 수는 없지만 최근 PBR을 기준으로 분할매수, 분할매도의 보조적인 지표로 활용하시는 투자자들이 많이 있습니다. 최근의 12개월 평균 PBR은 0.92이지만 2021년 4월에는 PBR이 1.3을 넘은 날도 많이 있었습니다.

 

반응형

 

코스피 PBR 보는법 (KRX정보데이터시스템)

 

1. 먼저 KRX 정보데이터시스템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

http://data.krx.co.kr/

 

정보데이터시스템

 

data.krx.co.kr

 

krx정보데이터 시스템의 메인페이지

 

2. 메인메뉴 - 통계 - 기본통계를 클릭합니다.

 

주가지수 배당수익률 조회화면

 

3. 기본통계 화면에서 지수 - 주가지수 - PER/PBR/배당수익률을 클릭합니다.

 

각 지수별 pBR 조회가 가능한 페이지

 

4. 전체지수 - KOSPI - 조회일자 선택 후 조회를 하면 해당날짜의 각 지수의 PBR 및 PER를 알 수 있습니다.

 

개별지수 pbr 조회 화면

 

여러 기간 동안의 PBR을 조회하기 위해서는 개별지수 - 지수명에 코스피 검색 - 조회기간 설정 후 조회하게 되면 일자별 코스피 종가 PBR조회가 가능하고 다운로드도 가능합니다.

 

조회 후 엑셀로 저장하는 방법

다운로드 팝업 클릭 후 엑셀버튼을 누르게 되면 조회한 값을 엑셀로 다운로드하여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최근 12개월 평균 PBR값에서 -0.04 이하에서 매수 +0.04 이상에서 매도 등과 같은 본인만의 전략을 통해서 지금 지수의 고평가 저평가를 알고 매매를 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2023년 10월 4일의 코스피 평균 pbr

 

2023년 10월 4일의 코스피 종가 화면
2023년 12월 28일의 코스피 pbr

 

2023년 12월 28일의 코스피 종가 화면

 


 

반응형